
원본: https://vercel.com/blog/latency-numbers-every-web-developer-should-know 웹 앱에서 웹 페이지 로드 시간과 사용자 액션에 대한 반응성은 사용자 만족도의 주요 요인이며, 두 가지 모두 네트워크 대기 시간에 의해 지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지연 시간 자체는 사용자가 인터넷에 연결(와이파이, LTE, 5G)하고, 사용자가 연결하고 있는 서버의 거리와 그 사이의 네트워크 품질의 함수입니다.지연 시간 숫자는 그 자체로 낮게 보일 수 있지만 빠르게 결합됩니다. 예를 들어, 300ms 링크의 3 depth 네트워크 폭포는 총 지연 시간 900ms로 이어집니다. 리액트 서버 컴포넌트와 같은 기술은 네트워크 폭포를 동일한 요청 패턴이 100배 더 빠를 수 있는..

이 글은 한재엽님의 블로그 글 신입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려면 무엇을 학습해야 하나요? 를 바탕으로 하되, 제 기준과 생각을 추가하여 작성하였습니다. 하루에 이론공부 2시간(용어 학습 또는 CS지식 등 실습을 제외한 공부), 실습 4시간을 목표로 한다. 모든 용어나 명세 등은 키워드만 듣고도 설명할 수 있는 수준으로 충분히 이해될 때 까지 학습한다. (외우는것 X) #1 언어 및 웹문서(Document) 관련 공부 1. HTML/CSS HTML/CSS 기본 - 명세 읽기 웹 접근성 크로스 브라우징 이슈 (정의와 특징적인 이슈 또는 내가 경험했던 이슈) CSS 방법론 CSS Grid Layout CSS Media Query CSS3 Animation / Transition CSS 전처리기 (사용 이유, 역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promise
- vue-cli
- til
- asyncawait
- Docker
- vue-router
- prerender-spa-plugin
- JavaScript
- Python
- chartjs
- 상태관리
- 우아한테크러닝
- vue-meta
- frontend
- 인프런
- Component
- axios
- ReactNative
- Vuex
- vue
- 프론트엔드
- typeScript
- jsconf
- REACT
- js
- nodejs
- EventLoop
- ES6
- 리액트훅
- vuej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