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반응형
# 좋은 아키텍쳐란?
다른것들끼리 분리해라.
컴포넌트를 언제 어떻게 쪼갤지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하지만,
강사님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map으로 리스트 데이터를 뿌려주는 경우 별도의 컴포넌트로 감싸주는걸 선호한다.
한 눈에 보기 더 쉽기 때문!
쪼갤까 말까 싶을때가 쪼갤때다!
나중에 더 비대해질 경우 버그날까 쪼개기 더 어렵다.
# 커뮤니케이션
이 부분은 아래 링크 작성자께서 정리를 잘해주셔서 발췌해왔습니다.
https://github.com/soongyu/woowa-tech-learning-react-typescript/blob/master/week02-2.md
- 아주 기본적인 소프트 스킬(Soft Skill) 중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건 약속(프로토콜, Protocol)이라고 생각한다. 함께 일하다보면 그게 맞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의식조차 못하는 사람도 대다수. 정보를 주고받는다는 건 이해의 수준(레이어, Layer)이 일치(유사, 동등)해야한다. 비개발자에게 개발 언어를 사용하면 이해하는 것이 어렵 듯 상대에 따라 단어 선택도 바꿔야할 필요가 있다. 상대(Target Layer) 를 잘 이해(의식)하고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길, 커뮤니케이션뿐 아니라 어떤 분야던.
- 학습도 물론 마찬가지. 교육 과정이나 강의 등을 고를 때를 예로 들면 유명하고 인기 있는(핫한) 게 좋은 것이 아니라 내가 이해할 수 있는 영역인지?, 정말 필요한지? 가 중요하다고 받아들여진다. 고급 테크닉만 쫓는다고 좋은 건 아니다. 주니어 시절에 갖추는 본질과 기본이 중요하다.(편식 No! 차곡차곡!) 내가 속한 레이어에 맞는 표현, 단어들도 습득하도록 노력하자!
-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때도 내가 A라는 것에 대해서 다양한 레이어로 얘기할 수 있는가. 상대의 레이어가 어느 수준인지 의도적으로 파악하는지도 생각하자.
- 한 방향으로 너무 반복되면 습관이 되고 몸에 붙게 된다. 그걸 떼어내기가 쉽지 않으므로 의욕이 넘칠 땐 위험할 수 있으니 조금 돌아보고 낮추는 것도 필요.
# 클래스 컴포넌트 vs 함수형 컴포넌트
리액트 측에서는 사실 클래스 컴포넌트를 명맥상 유지하는거 같음.
함수형으로 모든게 가능하고 클래스는 라이프사이클 관련해서나 여러가지로 잡음이 많다.
import React, { useEffect } from "react";
const SessionItem = ({ title }) => <li>{title}</li>;
class classApp extends React.Component {
constructor(props) {
super(props); // 상위 클래스에 넘겨준다.
// 일반 펑션 쓸 때는 생성자 함수에서 일일히 이렇게 해줫다.
this.onToggleDisplayOrder = this.onToggleDisplayOrder.bind(this);
this.state = {
displayOrder: "ASC"
};
}
onToggleDisplayOrder() {
// 실행 컨택스트
this.setState({
displayOrder: displayOrder === "ASC" ? "DESC" : "ASC"
});
}
toggleDisplayOrder = () => {
// 렉시컬 컨택스트 (문맥상 this)
this.setState({
displayOrder: displayOrder === "ASC" ? "DESC" : "ASC"
});
};
render() {
// 클래스 컴포넌트는 상태가 바뀌면 렌더를 다시 해줄 뿐이지
// this는 바뀌지 않는다. 기존 상태들 값 유지.
return (
<div>
여기여기
<button onClick={onToggleDisplayOrder}>정렬</button>
</div>
);
}
}
const App = (props) => {
// 기존엔 함수형은 상태를 가질 수 없어서 상위 컴포넌트로 상태를 다 올려버려서
// 상위 컴포넌트가 비대해졌다.
// 함수형 컴포넌트도 상태를 가지면 좋겠다고 생각.
// 그래서 만들어진게 리액트 훅.
// toggleDisplayOrder은 리액트가 제공한 함수기 때문에 언제 상태가 변경되는지 감지 가능.
// 그래서 해당 함수를 호출하면 다시 렌더해준다.
// toggleDisplayOrder는 다른 함수 안에 콜백으로 들어갈 수 밖에 없다.
// (그렇지 않으면 무한루프에 빠지기 때문에)
// 그 때 (사용시에) 클로저가 잡히는거지, 훅 자체가 클로저는 아님.
// useEffect라는 훅은 렌더될때마다 전달해준 함수를 호출해줌.
// 렌더가 완료된 이후 dom이 완성된 이후에 실행되는 것. (라이프사이클 함수)
useEffect(() => {
// 사이드이펙트가 일어나는 일.
// 컴포넌트가 사라질 때 리턴해주는 함수를 호출함.
// ex) 구독
return () => {
// 구독 해제
};
});
const [displayOrder, toggleDisplayOrder] = React.useState("ASC");
const { sessionList } = props.store;
const orderedSessionList = sessionList.map((session, i) => ({
...sessionStorage,
order: i
}));
const onToggleDisplayOrder = () => {
toggleDisplayOrder(displayOrder === "ASC" ? "DESC" : "ASC");
};
return (
<div>
<header>
<h1>React and TypeScript</h1>
</header>
<p>전체 세션 갯수: 4개 {displayOrder}</p>
<button onClick={onToggleDisplayOrder}>재정렬</button>
<ul>
{orderedSessionList.map((session) => (
<SessionItem title={session.title} />
))}
</ul>
</div>
);
};
export default App;
** 가비지 컬렉션 (GC)
- 메모리 누수를 막기 위해 사용하지 않는, 즉 참조가 사라진 값들을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알아서 지워준다.
- 브라우저마다 시대마다 사용하는 알고리즘이 다양하지만 예전에는 주로 상호-순환 참조 알고리즘, 요즘에는 주로 마크 앤 스윕 알고리즘을 사용한다.
- 결론 : 리액트 훅을 사용하면서 메모리 leak이 발생하는거 같다고 걱정하지마라. 신경쓰지 마라.
# 제너레이터 (Generator)
함수명 앞에 asterisk(*)가 붙은 함수를 Generator function 이라고 부른다.
async function과 함께 모던한 함수로 분류된다.
## 지연 호출 (lazy)
// 한 번에 실행 불가능.
const x = 10;
const y = x * 10;
// 한 번에 실행 가능.
const x = () => 10;
const y = x() * 10;
위 두줄의 코드는 한번에 실행시킬 수 없다.
x라는 값으로 디펜던시가 걸려잇다.
x값이 확정되기 전에는 아래 코드를 실행할 수 없기 때문.
그러나 아래 두 줄의 코드는 가능하다.
x값의 확정을 지연시켰기 때문. 보통 lazy, 또는 지연 호출이라고 한다.
Rx나 Mobx에서 사용하는 테크닉이다.
## generator vs async ~ await
const p = new Promise(function (resolve, reject) {
// resolve 호출을 지연 호출시킨다.
setTimeout(() => {
resolve("1");
}, 1000);
});
p.then(function (r) {
// console.log(r);
});
function xyz(x) {
// ...
// 어떤 값을 리턴하는 것을 함수
// 리턴이 없는 함수를 프로시져
// 물론 자바스크립트는 리턴이 없으면 undefined를 반환하긴 함.
}
// 코루틴
// 함수인데 리턴을 여러번 할 수 있게 하면 어떨까?
// 마지막 리턴한 지점부터 다시 시작.
// 제너레이터는 이러한 코루틴 아이디어를 응용한것.
function* makeNumber() {
let num = 1;
while (num) {
// yield는 제너레이터 함수에서 return 이라고 생각.
// 그러나 return은 함수 자체를 끝내버리기 때문에 다르다.
// 제너레이터 함수는 모든 상태를 기억하고 있다. 마치 리액트에서 제공하는 리액트 훅 같은 기능.
const x = yield num++;
console.log(x);
}
}
const i = makeNumber(); // 실행될 준비만 함.
// console.log(i.next()); // 이 때 실행함. yield나 return이 나올때까지
// 제너레이터 바깥에서는 끝났는지 아닌지 알 수 없기 때문에 객체를 리턴.
// done: 다음에 실행할 코드가 있는지 구별하는 플래그.
// done이 true면 next를 그만 호출.
// console.log(i.next());
// console.log(i.next('x')); //값을 전달할수도 있다.
const delay = (ms) => new Promise((resolve) => setTimeout(resolve, ms));
const delay2 = (ms) => ms;
// 콜백함수 구조
delay(3000).then(() => {
console.log("3초 뒤");
});
// 바깥쪽에서 내부를 컨트롤 할 수 있다.
// 콜백으로 쓰지 않고 비동기를 동기적으로 쓸 수 있게 만든것이 리덕스 사가.
// 어떤 응답이 오면 다시 next 불러서 알려줘라.
function* main() {
console.log("시작");
yield delay2(3000);
console.log("3초 뒤");
}
const it = main();
const { value } = it.next();
if (value instanceof Promise) {
value.then(() => {
it.next();
});
} else {
setTimeout(() => {
it.next();
}, value);
}
// async - await 활용한 경우.
async function main2() {
console.log("시작");
await delay(3000);
console.log("3초 뒤");
}
main2();
// async await는 프로미스에 최적화된 것.
// 제너레이터는 훨씬 더 일반적인 상황에 적용 가능하다.
// 비동기 뿐만이 아니더라도 다양하게 적용 가능.
// 제너레이터가 반환한 객체를 iterator라고도 함.
// 콜백에 비해 코드가 깔끔해지고 코드가 깔끔해지면 읽기 쉬워진다.
반응형
'프론트엔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S] try...catch 그리고 에러 핸들링 (0) | 2020.10.18 |
---|---|
[우아한테크러닝 React&TypeScript] 5회차 (0) | 2020.09.16 |
[우아한테크러닝 React&TypeScript] 3회차 (0) | 2020.09.08 |
[우아한테크러닝 React&TypeScript] 2회차 (0) | 2020.09.03 |
우아한테크러닝 3기 - React & TypeScript 합격 (0) | 2020.09.03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인프런
- Component
- 상태관리
- 우아한테크러닝
- vue
- vuejs
- Vuex
- nodejs
- chartjs
- promise
- frontend
- asyncawait
- JavaScript
- vue-meta
- 리액트훅
- ES6
- Python
- typeScript
- jsconf
- EventLoop
- prerender-spa-plugin
- REACT
- ReactNative
- axios
- vue-cli
- js
- 프론트엔드
- til
- Docker
- vue-router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